
(아름다운교육신문) 경남도는 25일 경상남도기록원에서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대응을 위한 실무회의를 개최하고, 경남도 핵심 철도사업의 국가계획 반영을 위해 시군·연구기관과 공동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도 공무원, 12개 시군 담당자, 경남연구원 연구진 등 총 30여 명이 모여, 국토교통부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경남도의 철도사업이 최대한 반영되도록 최신 정부 동향을 공유하고 지역별 대응 방안을 점검했다.
실무회의는 국토부 철도망 정책 동향 설명, 시군별 건의 사업과 쟁점 발표, 경남연구원의 분석을 통한 정책·기술 지원, 추가 대응 전략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특히 각 시군은 경남도가 제출한 11개 철도망 사업의 논리와 지역 쟁점·해결 과제를 공유하며, 국가계획 반영을 위한 공동 대응 필요성에 공감했다.
이번 회의를 통해 경남도는 도–시군–연구원이 함께 움직이는 상시 협력체계를 공식화했다. 시군이 제출한 자료를 기반으로 사업별 논리를 보완해 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 등 중앙부처 협의 시 경남 전체의 공동 요구안으로 전달할 계획이다. 또, 향후 정례 협의체를 열어 국토부의 검토 방향과 보완 요구에도 즉각 대응할 방침이다.
그간 도는 국가철도망 반영을 위해 경상남도 교통망(도로‧철도) 종합구상용역, 부울경 초광역 경제동맹 협력사업, 영호남 협력사업, 이재명정부 지역공약 반영, 경남도 철도정책 포럼·철도망 구축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해당 시군과 함께 국회의원 토론회, 서명운동 추진, 릴레이 캠페인 등도 추진했다.
도는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이 수도권과의 이동격차 해소, 가덕신공항 연계 교통망 확보, 서부경남 접근성 강화, 국가균형발전 기반 마련 등 미래 교통·산업구조를 좌우하는 핵심 계획임을 강조했다.
박성준 도 교통건설국장은 “경남 철도망은 지역균형발전을 넘어 대한민국 산업·물류체계의 새로운 축을 세우는 사업”이라며 “도와 시군, 지역 연구기관의 역량을 결집해 경남의 주요 철도사업이 반드시 국가계획에 반영되도록 끝까지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