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교육신문) 광주지역 의료로봇 상용화 기반을 강화하고, 미래형 의료산업을 선도해 나갈 ‘마이크로의료로봇 개발지원센터’가 광주에 문을 열었다.
광주광역시는 26일 북구 광주첨단과학국가산업단지 내 건립한 ‘마이크로의료로봇 개발지원센터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강기정 시장, 이학영 국회 부의장, 채은지·이명노·서임석 광주시의원, 정신 전남대병원장, 지병문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 이사장, 김동진 광주대학교 총장, 김영집 광주테크노파크 원장, 이삼용 광주보훈병원장 등 주요 인사가 참석해 센터 준공을 축하했다.
이날 준공식은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 주관으로 열렸으며, 건축 및 장비 구축, 기업 입주가 이뤄짐에 따라 센터의 본격적인 운영을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마이크로의료로봇 개발지원센터’는 총사업비 320억원(국비 190억원, 시비 80억원, 민자 50억원)이 투입돼 연면적 6163㎡, 지하 1층·지상 2층 규모의 연구‧실험 공간이다. 센터는 임상연구와 시제품 제작에 필요한 100여 종의 첨단장비를 갖춰 연구개발부터 상용화까지 전주기 지원이 가능하다.
현재 시지바이오 등 5개 기업이 입주했으며, 추가 기업 유치가 진행 중이다.
건물과 장비는 광주시가 소유하고, 운영과 관리는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이 맡아 공공성과 전문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특히 임상용 GMP(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기반 시설을 갖춰 의료로봇 시제품 제작과 유효성·안정성 평가를 지원하고, 연구 성과의 신속한 상용화를 돕는다. 또 산·학·연·병 협력 플랫폼, 창업보육 및 기업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의료산업 생태계 조성과 기업 성장을 지원한다.
센터 운영·관리를 맡는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은 세계 최초로 대장내시경로봇, 혈관치료용 마이크로로봇, 능동캡슐내시경, 줄기세포기반 의료용 마이크로로봇을 개발했으며, 현재까지 특허 출원 357건, 등록 250건을 기록한 세계적 기관이다.
박종오 연구원장은 “센터 가동으로 연구개발과 기업 지원이 동시에 가능한 체제를 갖추게 됐다”며 “광주가 마이크로의료로봇 분야 세계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센터는 국비·시비·민간 자원이 함께 투입된 결실”이라며 “지역 의료산업 육성을 통한 기업의 제품화·사업화는 물론 청년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 시장은 이어 “광주는 지난 22일 AI 2단계인 ‘인공지능전환(AX) 실증밸리’ 조성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면제가 최종 확정됨에 따라 인공지능(AI) 집적단지와 연계해 미래 전략산업 육성에 속도를 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광주시는 이번 마이크로의료로봇 개발지원센터 준공을 계기로 의료로봇 상용화 기반을 강화하고, 산·학·연·병 협력체계를 확대해 미래형 의료산업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