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1 (목)

  • 흐림속초 28.7℃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흐림충주 30.5℃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맑음순천 30.8℃
  • 구름조금제주 31.6℃
  • 구름조금서귀포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사회

질병관리청, 벌쏘임 뱀물림 여름철 야외에서 집중발생 안전수칙 꼭 확인하세요!

뱀물림은 손(60.6%), 발(20.9%)에서 집중 발생하는 반면, 벌쏘임은 손(25.5%), 팔(17.6%), 얼굴(13.5%) 등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

URL복사

 

(아름다운교육신문) 질병관리청은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의 최근 5년(2020년~2024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여름철에 벌쏘임 및 뱀물림 사고가 집중 발생하고 있어 주의를 당부했다.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분석에 의하면, 벌쏘임 사고는 최근 5년간(’20년~’24년) 총 3,664건 발생했으며, 그중 88명이 입원하고 13명이 사망했다. 7~9월 사이에 집중 발생했으며(70.5%), 특히 12시~18시 사이 낮 시간대에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주말(47.0%)에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벌쏘임 환자는 남자(64.4%)가 많았으며, 연령대는 60대(25.8%), 50대(22.1%)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벌쏘임 사고는 주로 일상생활 중(37.2%), 여가활동(24.3%), 업무(20.0%) 중에 많이 발생했으며, 0~30대까지는 휴식, 누워 있기 등과 같은 일상생활과 등산과 같은 여가 활동 중 발생한 비율이 높고, 40대 이후부터 일상생활 다음으로 업무 중(벌초, 제초 등) 벌에 쏘이는 경우가 많았다.

 

발생장소로 보면, 벌쏘임은 야외·강·바다(37.5%), 도로(18.8%), 집(16.1%), 농장 및 일차 산업장(9.6%)에서 많이 발생했다. 2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야외·강·바다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20대: 도로 36.1%, 야외·강·바다 29.3% 순), 0-9세는 집(19.8%), 놀이·문화공간(16.9%) 순으로, 10대는 도로(26.9%), 집(14.1%)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30~50대는 야외·강·바다 다음으로 도로에서 손상 비중이 높았으며, 특히 50대부터는 집 그리고 밭과 같은 농장·일차 산업장에서의 발생이 많았다.

 

벌에 쏘이는 신체부위는 주로 손(25.5%), 팔(17.6%), 얼굴(13.5%), 다리(12.2%) 순으로 나타났다.

 

뱀물림 사고는 최근 5년간 726건 발생했다. 9월(24.0%)에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7-8월(7월 16.3%, 8월 16.8%)이 그 뒤를 이었다. 일주일 중 주말(40.8%)에 많이 발생했는데, 12-18시(41.0%), 06–12시(30.3%)에 주로 발생했다. 연령별로는 60대(28.9%)와 70대 이상(24.0%), 50대(19.6%)가 전체의 72.5%를 차지했으며, 남자가 56.6%로 여자(43.4%)보다 많았다. 특히, 뱀물림 사고는 입원 비율이 59.6%로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뱀에 물리는 사고는 주로 업무 중(제초 또는 농작물 수확 등, 27.3%), 일상생활 중(24.2%), 무보수 업무(창고 정리 또는 분리수거 등, 22.9%) 중에 발생했다. 0~40대까지는 여가와 일상생활 중 발생하는 빈도가 높았지만, 60대 이후에서는 밭일 등의 업무와 무보수 업무 중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 장소별로 보면, 뱀물림 사고는 야외・강・바다가 43.1%로 가장 많았고 밭과 같은 농장・일차 산업장이 27.7%로 나타났다. 집에서는 정원·마당(56.4%)에서 뱀에 물리는 경우가 많았고, 분리수거장, 창고 등의 기타 옥외공간(18.2%)에서 물리는 경우도 많았다.

 

뱀에 주로 물리는 부위는 손(60.6%)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발(20.9%), 다리(9.3%) 순으로, 밭일 등을 할 때는 장갑, 긴바지, 장화 등의 보호복 착용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특히 10월까지는 벌쏘임, 뱀물림 사고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야외활동 시 주의하고 벌집이나 뱀을 잡으려고 하지 말고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여야 한다.

 

질병관리청은 벌쏘임, 뱀물림 예방수칙을 담은 리플릿과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여 정부부처 및 보건소, 농업 관련 기관 등에 배포하고 있다. 각 상황별 예방법 및 응급처치 방법을 담은 리플릿은 국가손상정보포털 및 질병관리청 누리집을 통해 누구나 내려받을 수 있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벌쏘임, 뱀물림은 8-9월 발생 빈도가 높아 유의해야 하고, 제초 작업이나 밭일을 하는 경우 긴소매 옷을 입고, 장화를 착용하는 등 예방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사고 발생 당시의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마련한 벌쏘임 및 뱀물림 예방수칙과 응급처치법을 담은 리플릿이 현장에서 적극 활용돼 국민들이 여름철 안전한 야외활동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