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약 계층 아동 10명 중 4명은 개인용 디지털 학습기기 없이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친구 기아대책이 지난 4월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 박사진과 함께 전국 취약계층 학생 87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태 조사에 따르면 온라인 수업 및 학습을 위한 개인용 디지털 기기가 없다는 응답이 전체의 41.1%에 달했다.
이들 중 31.8%는 형제나 자매 등 가족 구성원과 디지털 기기를 함께 사용하고 있었으며, 기기가 전혀 없다는 응답도 9.2%를 차지했다.
또한, 응답 아동의 대부분(88.7%)은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공간이 '집'이라고 밝혔지만, '학습을 위한 개인 공간이나 책상·의자가 없다'는 응답이 26.3%로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을 도와주는 사람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7.6%가 지난 학기에 '온라인 학습에 도움을 준 사람이 없다'고 답했으며 4명 중 1명은 '혼자 해결'(16.3%) 하거나 '해결하지 못한다'(7.9%)고 밝혔다.
이러한 열악한 환경은 성적 하락으로 이어졌다.
응답 아동 5명 중 1명(18.6%)은 2019년보다 2020년 성적이 하락했다고 답했고, 성적 하락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코로나19에 따른 온라인 수업 시행'(55.8%)을 꼽았다.
이에 아동들은 대면 수업이 재개되길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88.6%가 '대면 수업을 희망'하고 있으며 '대면 수업이 학습에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응답한 비율도 75.4%에 달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8세에서 19세 사이의 전국 기아대책 결연 아동 및 지역아동센터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유원식 기아대책 회장은 "아동·청소년들이 코로나19로 학습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전문기관 및 전국 지역아동센터와 연계해 효과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