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속초 0.1℃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인천 2.1℃
  • 흐림충주 2.5℃
  • 청주 3.0℃
  • 대전 3.3℃
  • 대구 6.8℃
  • 전주 6.9℃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여수 8.3℃
  • 흐림순천 6.7℃
  • 흐림제주 10.7℃
  • 구름많음서귀포 13.4℃
  • 흐림천안 2.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사회

시민과 함께, 남극 빙하 ‘인천’ 보호 작전

인천시, ‘인천’ 해빙속도 늦추기 위한 시민 참여 독려

URL복사

 

서남극 갯츠 빙붕(Gets Ice Shelf)에 연결된 빙하 중 하나에 최근 ‘인천’의 이름이 붙여지면서 인천시가 환경특별시의 위상을 국제적으로 공고히 했다.
 
영국 남극지명위원회(Antarctic Place-names Committee)는 빠르게 녹고 있는 서남극 빙하 9개에 그동안 주요 기후회의를 개최한 도시 9곳 이름이 붙었다고 최근 밝혔다.
 
이미 이름을 가지고 있던 서쪽의 5개 빙하를 제외한 9개의 빙하들에 새 이름이 붙은 것이다.
 
빙하 ‘인천’은 2018년 10월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를 심의하기 위해 인천에서 개최된 제 48차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총회를 기념해 명명됐다.
 
인천시는 그 이후에도 2019년 4월 유엔기후변화협약 적응주간 국제회의, 2021년 10월 국제기후금용산업컨퍼런스를 개최했으며 2022년 12월 유엔기후변화협약 적응주간 국제회의 개최를 계획하는 등 기후대응을 위한 국제사회 공감대 형성 및 협력방안 모색을 위한 꾸준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9개의 빙하는 제네바, 리오, 베를린, 교토, 발리, 스톡홀름, 파리, 인천, 글래스고라는 새로운 이름을 얻었다.

 

빙하 이름은 기후회의 개최 시기 순으로 지정됐다.
 
1979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최초 기후정상회담에서 이름을 딴 빙하 ‘제네바’와 2021년 COP26 개최지명을 딴 빙하 ‘글래스고’가 각각 양 끝에 배치됐다.
 
9개의 빙하는 올해 2월 한국 극지연구소를 포함, 영국 리즈대학교와, 스완지대학교 등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결과를 통해 매우 빠른 속도로 녹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주목받았다.
 
9개 빙하의 기후회의 개최도시 명명은 최근 리즈대학의 연구진이 제안했으며 영국 정부를 통해 공식 제출된 후 영국 남극지명위원회의 지지를 얻었다.
 
이는 향후 지도, 해도 및 출판물에 사용하기 위해 국제 남극 대륙 종합 관보에 추가될 예정이다.

 

최근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로 인한 지구온난화는 남극해에 극심한 환경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따뜻한 남극순환심층수가 남극 연안으로 유입돼 빙붕을 녹이며 그로 인한 남극 얼음의 감소는 전 지구 해수면 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남극 연안 중 서 남극 아문젠해는 얼음 감소가 최근 가장 큰 것으로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갯츠 빙붕은 길이 650km, 폭 약 110km(가장 넒은 폭 기준)으로 아문젠해 연안 빙붕 중 가장 크다.
 
올해 2월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 Communications)에 출간된 논문에 의하면 1994년 1994년부터 2018년까지 인공위성 관측결과 지난 25년 동안 약 3150억 톤의 얼음이 이 지역에서 소실됐으며, 이는 전 세계 해수면을 약 0.9mm 높일 수 있는 양이다.
 
특히, 이들 14개 빙하들의 남극 바다로의 이동 속도가 1994년 보다 약 23.8% 빨라졌으며, 교토 빙하의 흐름 속도는 58.5% 빨려져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인천 빙하의 속도는 2018년 약 192.2 m/year로 1994년에 비해 약 2.9% 빨라져 14개 빙하 중 그 변화폭이 가장 작았다.
 
김태완 극지연구소 해양연구본부 책임연구원은 “빙붕 소멸을 비롯한 남극의 환경변화를 눈과 데이터로 직접 확인하면서 지구온난화가 돌이킬 수 없는 불가역의 시점에 매우 가까이 있다는 과학자들의 주장을 더욱 신뢰하게 됐다”면서 “현재의 지구온난화를 되돌리기 위해서는 인위적 탄소배출을 줄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