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2 (수)

  • 맑음속초 15.8℃
  • 맑음동두천 15.6℃
  • 맑음강릉 17.3℃
  • 맑음서울 16.9℃
  • 맑음인천 14.9℃
  • 구름조금충주 15.3℃
  • 구름많음청주 15.3℃
  • 구름많음대전 14.7℃
  • 흐림대구 14.0℃
  • 흐림전주 13.5℃
  • 흐림울산 15.4℃
  • 흐림광주 12.7℃
  • 흐림부산 15.2℃
  • 흐림여수 14.4℃
  • 흐림순천 13.1℃
  • 흐림제주 16.7℃
  • 흐림서귀포 16.3℃
  • 흐림천안 15.0℃
  • 흐림경주시 14.8℃
  • 흐림거제 14.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사회

전북도, “글로벌 메가샌드박스 + 서해권 K-물류거점” 새만금 대도약 해법 찾는다

새만금 정책포럼 개최, ‘메가샌드박스․K-물류거점’ 등 국정과제 집중 논의

URL복사

 

(아름다운교육신문) 전북자치도는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2025년 새만금 정책포럼'을 개최하고,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를 통한 속도감 있는 새만금 완성’을 주제로 새만금 글로벌 메가샌드박스 구축과 서해권 K-물류거점 전략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새만금이 가진 산업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규제특례 중심의 글로벌 메가샌드박스 조성과 K-물류 트라이포트 체계 구축을 통한 첨단전략산업기지로의 도약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는 신영대·이성윤·안호영 국회의원을 비롯해 새만금개발공사 나경균 사장, 국무조정실 새만금사업추진지원단, 새만금개발청, 전북연구원 등 관계기관과 산·학·연 전문가 80여 명이 참석해 정책 추진 방향과 실행과제를 공유했다.

 

첫 번째 발제에서 홍승헌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은 '새만금 글로벌 메가샌드박스 구축을 위한 전북자치도의 선도적 역할'을 주제로 지자체가 중심이 되는 ‘규제특례 설계형 메가특구 모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실증–허가–인증–사업화로 이어지는 전주기 혁신 체계가 새만금에 구현될 때 비로소 글로벌 수준의 규제 프리존이 완성된다”며, 전북이 중앙정부와 협력하여 규제특례를 직접 제안·설계하는 ‘Rule-maker & Role-maker’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두 번째 발제에서 배희성 경기대학교 교수는 '새만금 서해권 K-물류 거점과 트라이포트 전략'을 발표하며, 새만금이 Air-Port, Sea-Port, Data-Port를 결합한 트라이포트 생태계로 발전할 필요성을 제시했다. 아울러, “새만금은 RE100 기반 에너지를 산업전력으로 활용해 AI·데이터 산업과 연계할 수 있는 최적지”라며, “디지털 전환과 에너지 전환이 결합된 K-트라이포트 모델을 통해 새만금이 글로벌 첨단산업의 허브로 도약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는 이승우 새만금위원회 민간위원(8기)이 좌장을 맡아 권일 교수(한국교통대), 송효진 교수(성결대), 정세영 교수(경희대), 김관영 센터장(㈜대웅제약), 이동호 전무이사(㈜천보BLS) 등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메가샌드박스 제도화, 1호 헴프산업 관련 규제 발굴, 물류 경쟁력 확보 및 기업 투자환경 개선 방안을 폭넓게 논의했다.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는 “이번 포럼은 새만금이 대한민국 첨단산업의 무대이자 혁신정책의 실험장으로 도약하고 있음을 보여준 자리이다”며, “특히 메가샌드박스 1호 산업으로 추진하는 ‘헴프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중심으로, 새만금을 ‘규제가 없는 혁신특구이자 세계로 향하는 K-물류 허브’로 완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